metatag-robots=(index,follow)
마법선생 네기마! / 외부 관련
- 「콤프티크」(카도카와 서점) 2009년 11월호의 부록의 「사이타마 신문 특별판 러키☆스타 in 사이타마」에, 사이타마현을 무대로 한 작품의 소개면이 있고, 그 안에 ‘마법선생 네기마’가 소개돼 있었다.
- 「가공 도시·사이타마현 마호라시에 있는 마호라학원 여자 중등부의 선생님이 된 천재 어린이 마법사의 이야기다. 주인공인 「네기 선생님」의 유래는 후카야시의 파(네기)로부터 시작되었대. 마법을 사용한 「배틀」과 31명의 여학생이 보여주는 「모에」의 융합은 마니아심을 자극하는군요~」라고 쓰여져 있었다. 아카마츠 작가에 의하면, 「후카야시의 파로부터」라고 하는 것은 루머라고 한다.
- ‘청춘소년 매거진 1978~1983’(고바야시 마코토(小林まこと)·주간 소년 매거진) 제3화 라스트의 アオリ文에, “주간 연재인데 1회 그리는 데 8일이 걸리는 만화가들은 小ん林 선생님 말고도 일부 더 있는 게 확인되나요?” 라고 쓰여져 있었다.
- 「월간 챔피언 레드」(아키타 서점) 2008년 4월호에 게재된 「アリスの100℃C」(나카지마 치즈나(中嶋ちずな))의 예고로, ‘네기마’ 명단과 유사한 학생 24명의 학급 명단 사진이 올라왔다.
- 「민폐 최강 우리형(兄ふんじゃった!)」(오가사와라 신·소학관) 제130화에서, 세츠나, 에반젤린, 치사메(?) 같은 소녀가, 테루키요(テルキヨ)의 다과회의 상대로 등장했다. 에반젤린 닮은 소녀는 ‘우나바라 유우코(海原雄子)‘라는 이름으로 제131·134·139·140·142·143(최종회)화에도 등장했다.
- 「비호감 왕자 타이조(太臓もて王サーガ)」(다이 아몬·슈에이샤) 제34장에서, 아쿠츠 히로미(阿久津弘海)가, 「정말이지, 담임이 마법사라도 놀라지마…(もう 担任が魔法使いのガキでも驚かねえよ…)」라고 말하고 있었습니다.
- TV아사히의 「연예계 애니메이션 통이 집결! 철저조사!!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랭킹 100(2006년 10월 9일 19:00~20:54 방송)에서 ‘마법선생 네기마’가 88위를 차지했다. 연예계 애니메이션 전문가 100명이 여러 애니메이션에 대해 한 사람당 100점의 할당된 점수를 원하는 정도로 배분하여 투표한 설문조사를 집계한 것이다. 「마법선생 네기마!」에 고득점을 투표한 연예인에, 타카베 아이(18)와 와카츠키 치나츠(22)가 있었다.
- 2005년 11월 21일 NHK가 발표한 12월 31일 홍백가합전에서 듣고 싶은 노래를 시청자가 선정하는 ‘스키우타’ 홍조 50위에, 애니메이션 ‘마법선생 네기마!'의 오프닝 곡인 ‘해피☆메테리얼’이 들어갔다. 내역은 투표 엽서: 63위(11342표), 휴대전화: 72위(906표), PC: 31위(2698표), 데이터 방송: 543위(22표)였다. 하지만 출장자로는 선정되지 못했다.
- TV아사히의 「일본 전국 철저 조사!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랭킹 100(2005년 9월 22일 19:53~21:48 방송)의 사전에 인터넷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‘마법선생 네기마!'는 1185표로 4위를 차지했다. 하지만 방송 순위에서는 100위권 밖이고 작품 소개도 없었다.
- web라디오 <마호라학원 중등부 2-A, 비밀의 방과후 Part 2> 제8회째에서, 네기의 성우 ‘사토 리나’와 세츠나의 성우 ‘코바야시 유우’가 아카마츠 스튜디오를 방문하여, 어시스턴트 체험으로서 제136화의 그림 문자를 썼다.
- 패킷 라디오 「메이드 돌격대」 Mission07에서, 아사쿠라 카즈미의 성우 ‘사사가와 아야나’가 아카마츠 스튜디오를 방문해, 어시스턴트 체험으로 제125화에 먹칠을 했다.
- <주간경마북> 2005년 12월 4일호 <경마는 본심으로>의 시마다 아키히로(島田明宏) 씨의 수필로, ‘아키바 계열의 남자들이 600명이나 모이는 이벤트(2005년 11월 13일의 ‘대마호라제 프리 이벤트’를 취재한 사실이 언급되어 있으며, “취재하기 전에는 우리가 패덕으로 말을 보듯, 관객이 여자들을 쳐다만 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전혀 달랐다. 벌써 모두 일어서서 노래하고 춤추고 하는 엄청난 소동이었다. 행사장 바닥이 빠질까 봐 걱정됐을 정도다. 내가 가지고 있던 ‘오타쿠’의 어두운 이미지는 보기 좋게 망가졌다”라고 네기마 팬을 평가하고 있었다.
- 주간 소년 매거진 2005년 No.38에 「네기마」의 달력이 붙었다. 8~12월까지의 것으로, 캐릭터의 생일과 단행본, DVD의 발매일이 기입되어 있었다. 그림은 85화의 좌우 양면에 펼쳐진 컬러 이미지이다.
- 주간 소년 점프 2005년 No.7 목차 페이지에 편집의 아사다(浅田) 씨가 “어느 타 연재지 만화의 독자층을, 완전히 잘못 읽는다. 만화 편집자로서 이렇게 억울할 게 없다. 위대한 남자여, AK…!!” 라고 써 있었다. 이것은 아카마츠 선생님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소문이 있다.
- 「성우 그랑프리」(主婦の友社, 슈후노토모샤) 2004년 3월호부터, ‘네기마’의 성우를 소개하는 연재가 시작되었다.
제1회차(3월호) | 칸다 아케미, 노나카 아이 |
제2번차(4월호) | 이시게 사와, 쿠와타니 나츠코, 노토 마미코 |
제3번차(5월호) | 오오마에 아카네, 이토 시즈카, 데구치 마미, 사토 리나 |
제4번차(6월호) | 시무라 유미, 이노우에 키쿠코 |
제5회차(7월호) | 호리에 유이, 키무라 마도카, 야마가와 코토미, 야마모토 아즈미 |
제6회차(8월호) | 오오사와 치아키, 카도와키 마이, 이노우에 나오미 |
제7회차(9월호) | 다나카 하즈키, 코바야시 유우, 사쿠마 미호, 시라이시 료코 |
제8회차(10월호) | 미나가와 준코 |
제9회차(11월호) | 마츠오카 유키 |
제10회차(12월호) | 반도 아이, 코야마 키미코, 카노 마리 |
제11회차(1월호) | 사사가와 아야나, 코바야시 미사, 아이자와 마이, 이노구치 유카 |
- ‘hm3 SPECIAL’(음악전과사) vol.12(2004년 4월호)에서, 「PROJECT 네기마! PRESS」라는 네기마 성우를 소개하는 연재가 시작되었다.
창간호(vol.12) | 칸다 아케미, 노나카 아이 |
제2호(vol.13) | 이시게 사와, 쿠와타니 나츠코, 노토 마미코 |
제3호(vol.14) | 오오마에 아카네, 이토 시즈카, 데구치 마미, 사토 리나 |
제4호(vol.15) | 호리에 유이, 키무라 마도카, 야마카와 코토미, 야마모토 아즈미 |
호외(vol.15) | 사토 리나, 시무라 유미 |
제5호(vol.16) | 오오사와 치아키, 카도와키 마이, 이노우에 나오미 |
제6호(vol.16) | 코바야시 유우, 타나카 하즈키, 시라이시 료코, 사쿠마 미호 |
제7호(Hyper hm3 vol.2) | 미나가와 준코 |
제8호(vol.17) | 마츠오카 유키, 와타나베 아키노, 시라토리 유리 |
호외(vol.17) | 사토 리나, 이시게 사와, 타나카 하즈키, 사쿠마 미호 |
제9호(vol.18) | 반도 아이, 코야마 키미코, 카노 마리 |
제10호(vol.19) | 사사가와 아야나, 코바야시 미사, 아이자와 마이, 이노쿠치 유카 |
- ‘Hyper hm3’(음악전과사(音楽専科社)) vol.1(2004년 7월 28일 발행)의 권말 대특집에서 ‘마법선생 네기마!'가 다루어지고 있고, 7월 발매 「10월: 과학과 고기만두」를 중심으로 특집이 짜여졌다. 소개된 성우는 오오사와 치아키 씨, 카도와키 마이 씨, 이노우에 나오미 씨, 칸다 아케미 씨, 노나카 아이 씨, 시무라 유미 씨, 사토 리나 씨이다.
- 2004년 9월 3일 발매의 마이니치 신문(도쿄 석간)에, 「주간 소년 매거진 편집장에게 듣는다」라고 하는 기사가 실려, 쿠토미 타모츠(工富保) 편집장이 ”‘마법선생 네기마!'는 6할이 여성 팬이다.“라고 발언했다.
- AERA(아사히 신문사) 2004년 6월 7일호에 ‘소년만화에 빠지는 여자들’이라는 기사가 있으며, “고교생 이상을 독자층으로 상정(想定)하고 있는 「소년 매거진」(코단샤 280만부)은, 독자의 15~20%가 여성이다. 역시 단행본은 여성 비율이 높아지고, 특히 ‘츠바사’, ‘마법선생 네기마!’ (독자의) 절반 이상이 여성이다.” 라고 쓰여져 있었다. 아카마츠 작가에 의하면, 그런 사실은 없다고 한다.
- 「소년 매거진 원더」(2004년 8월 27일 발매·창간)에, 「마법선생 네기마!」의 특제 배틀 포스터가 첨부되었다. 도안은 단행본 6권의 표지로, 뒷면은 ‘츠바사’이다. 이 도안의 쿠오(QUO) 카드가 전원 서비스 선물로도 되어 있었다.
- ‘보이스 뉴타입 No.006’(카도가와 서점)의 권두 12페이지에서, ‘마법선생 네기마! ~스타트 대시!!~‘라고 하는 성우 32명을 소개하는 특집이 실렸다.
- 주간 소년매거진 2004년 No.1에서 ‘네기마’의 이미지 캐릭터 보이스가 발표되었는데, 성우의 전형은, 아카마츠 작가로부터는 몇 명 추천했을 뿐, 실제로는 현장에서 니시코리(錦織) 감독 등이 최종 결정을 했다고 합니다.
- ‘별책 보물섬 963 결정판!! 이 만화가 대단해! 만화나비(Navi) 엄선 1328작품’(타카라지마사(宝島社))의 러브코미디 부문에, ‘마법선생 네기마!'가 소개돼 있었다. 여주인공이 30명이나 등장하는데도 모두 개성적이고도 약속한 포인트를 빼놓을 수 없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. 메인 여주인공인 아스나 이외의 여성 캐릭터는, 팬 투표 결과 등장 빈도가 바뀐다는 게 재미있다.'라고 적혀 있었다.
- ‘FLASH EXCITING ‘2004년 신춘호’(코분샤 발행)‘의 ‘만화에 등장한 이색 교사 열전’에, ‘마법선생 네기마!'가 소개되어 있었다. ‘이능(異能)교사’ 부문에서 열 살에 외국인, 게다가 마법사이기도 한 해리포터를 닮은 소년 네기 스프링필드가 여고 선생을 맡고 있는 코미디 만화. 교사로서 뿐만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경험도 부족한데, 몸을 내던져 괴롭힘을 멈추려고 하는 모습은 역시. 마법을 부릴 줄 아는데 굳이 의지하려고 하지 않는 그 자세도 훌륭하다. 괴롭힘을 보고도 못 본 체하는 세상의 선생님들은 꼭 본받았으면 한다.'라고 쓰여 있었다.
- 주간 소년매거진 2003년 51호에서 ‘네기마! KC 3권 발매 기념 특별 그라비아’의 기획이 있으며, 미소녀 클럽 21이 마호라학원 교복을 입고 권두컬러로 등장했다.
- 계간 ‘S’(주식회사 스타일 발행) 제4호에, ‘마법선생 네기마!'에 관한 아카마츠 작가의 인터뷰가 실렸다. 이 책에 실린 콘티에 의하면, 세츠나가 코노카의 호위를 하고 있는 것, 미소라가 시스터복으로 등교하고 있는 것이 처음으로 판명되었다.
- 2003년 8월 11일 발매의 요미우리 신문 석간(전국판)의 테레비면에, ‘네기마’ 단행본 2권의 광고가 실렸다.(아카마츠 작가에게는 사전에 알려주지 않았던 것 같다.) ‘1권 폭발적 대히트!’, ‘빠르게 85만부 돌파!!'라고 쓰여져 있었다. 85만 부라는 것은 1권의 중판(重版, 재판)까지와 2권을 합친 숫자라고 한다.
- 단행본 제1권은, 최전성기의 ‘러브히나’의 7할정도 찍었다고 하지만, 매진점이 속출한 것 같다.
- 2003년 7월 16일 발매의 요미우리 신문 석간(전국판)의 테레비면(20면)의 3분의 2의 공간을 사용해, ‘아카마츠 켄의 최신 단행본 내일 3책이 동시 발매!! 이 러브코메가 대박이야! 매거진 1위!!'라는 광고가 풀컬러로 실렸다. 아카마츠 작가는 아연실색하며 내 책은 광고를 내도 내지 않아도 살 사람은 절대 사고 안 살 사람은 절대 안 사는 것 같다고 말했다.
- 매거진 SPECIAL 2003년 No.4에 ‘마법선생 네기마!'의 포스터가 붙었다. 주간 소년 매거진 2003년 13호 표지와 같은 디자인이다.
- ‘이로히나’ 제8권에, 마호라 학원 학급 신문이 부록으로 붙어, 좌석표가 판명되었다.
- ‘마법선생 네기마!’ 그림이 최초로 공개된 것은, 2003년 2월 15일 방송인 ‘Get Backers’ 방송을 통해 방송된 텔레비전 CF인것 같다.
- 2003년 9월 29일, 보조인 미노루 씨가 1박 2일로 교토, 나라에 자료 촬영을 갔다.
- 2002년 11월 10일, 도우미 미노루 씨가 사이타마로 자료 촬영을 갔다. 후카야 시에 있는 JR 후카야 역의 역사를 촬영하러 간 모양이다.